콘텐츠 생산은 쉽지 않다. 그러나 생산한 콘텐츠를 다양한 채널에 맞게 리패키징하는 과정은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최근 주목받는 전략은 ‘콘텐츠 리패키징 자동화’다. 특히 AI 기술과 노코드 도구의 결합은 1인 창작자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아티클에서는 ChatGPT와 Notion, Zapier, Make 등의 도구를 활용해 멀티 포맷 변환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컨텐츠 리패키징 자동화가 필요한 이유
한 번의 창작, 여러 번의 노출
블로그에 정성 들여 쓴 글이 검색 트래픽만을 기다리는 시대는 지났다. 동일한 콘텐츠도 유튜브 쇼츠, 카드뉴스, 인스타그램 릴스, 이메일 뉴스레터 등 다양한 포맷으로 재활용함으로써 노출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다.
1인 창작자의 시간은 제한되어 있다
콘텐츠를 여러 채널에 맞게 수작업으로 편집하고 작성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반복되는 작업은 자동화함으로써 창작자는 본질적인 기획과 창작에 집중할 수 있다.
https://www.blogmani.com/wp-admin/post.php?post=27&action=edit
리패키징 시스템 설계 개요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구성된다.
- ① 콘텐츠 소스 수집 (Notion, Google Docs 등)
- ② ChatGPT를 통한 포맷별 자동 리라이팅
- ③ 포맷별 결과 저장 및 자동 업로드 (Zapier 또는 Make 연동)
① 콘텐츠 소스: Notion 기반 관리
콘텐츠의 원본은 Notion에 정리해둔다. 예를 들어 블로그 글, 뉴스레터 초안, 리서치 노트를 각기 다른 데이터베이스로 정리하고, ‘AI 변환 대상’이라는 태그로 관리한다.
② ChatGPT 프롬프트 구성
각 포맷에 맞는 ChatGPT 프롬프트를 아래와 같이 미리 설계한다:
- 블로그 ➝ SNS 카드뉴스용: “다음 콘텐츠를 5줄 요약해 카드뉴스 형식으로 변환해줘.”
- 뉴스레터 ➝ 팟캐스트 스크립트: “다음 콘텐츠를 음성 콘텐츠용 대화체 스크립트로 바꿔줘.”
- 블로그 ➝ 유튜브 쇼츠 스크립트: “다음 콘텐츠를 30초 분량 유튜브 쇼츠용 스크립트로 요약해줘.”
③ Zapier/Make로 자동 실행
Zapier 또는 Make를 이용해 다음 자동화 루틴을 구성할 수 있다:
- Notion에서 특정 태그가 붙은 콘텐츠 감지
- 해당 콘텐츠를 OpenAI API로 전송하여 포맷별 리패키징
- 결과물을 Google Docs, Notion, Buffer, Google Drive 등에 저장
- 스케줄링 또는 SNS 자동 포스팅 설정
🔗 Zapier 공식 블로그 – How to repurpose content using automation
활용 시나리오 예시
1. 블로그 콘텐츠 → 카드뉴스 + 쇼츠
하나의 긴 블로그 콘텐츠를 기반으로 다음 작업이 동시에 진행된다:
- 카드뉴스용 5문장 요약 생성
- 30초 분량 쇼츠용 스크립트 자동 생성
- 자동 이미지 삽입 및 디자인 템플릿 적용 (Canva API 연동 가능)
2. 리서치 노트 → 인스타그램 릴스 스크립트
자신이 정리한 리서치 노트를 간단한 영상 스크립트로 전환해 릴스 영상 제작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주의할 점
AI가 생성한 콘텐츠는 반드시 1차 검토가 필요하다. 문맥 오류, 표현의 부적절성, 브랜드 톤과의 불일치 등을 점검하여 신뢰성을 유지해야 한다.
맺음말
AI는 콘텐츠 제작을 단순히 빠르게 만드는 것을 넘어, 전략적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가 되었다. 특히 1인 창작자는 이러한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더 적은 노력으로 더 많은 콘텐츠를 다양한 채널에 공급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한 멀티 포맷 리패키징 시스템은 생산성과 영향력을 동시에 높이고자 하는 창작자에게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